본문 바로가기
알고리즘/프로그래머스

프로그래머스: 2018 카카오 블라인드 - 1차 다트게임

by 패쓰킴 2022. 7. 19.
728x90
문제 설명

다트 게임

카카오톡에 뜬 네 번째 별! 심심할 땐? 카카오톡 게임별~

Game Star

카카오톡 게임별의 하반기 신규 서비스로 다트 게임을 출시하기로 했다. 다트 게임은 다트판에 다트를 세 차례 던져 그 점수의 합계로 실력을 겨루는 게임으로, 모두가 간단히 즐길 수 있다.
갓 입사한 무지는 코딩 실력을 인정받아 게임의 핵심 부분인 점수 계산 로직을 맡게 되었다. 다트 게임의 점수 계산 로직은 아래와 같다.

  1. 다트 게임은 총 3번의 기회로 구성된다.
  2. 각 기회마다 얻을 수 있는 점수는 0점에서 10점까지이다.
  3. 점수와 함께 Single(S), Double(D), Triple(T) 영역이 존재하고 각 영역 당첨 시 점수에서 1제곱, 2제곱, 3제곱 (점수1 , 점수2 , 점수3 )으로 계산된다.
  4. 옵션으로 스타상(*) , 아차상(#)이 존재하며 스타상(*) 당첨 시 해당 점수와 바로 전에 얻은 점수를 각 2배로 만든다. 아차상(#) 당첨 시 해당 점수는 마이너스된다.
  5. 스타상(*)은 첫 번째 기회에서도 나올 수 있다. 이 경우 첫 번째 스타상(*)의 점수만 2배가 된다. (예제 4번 참고)
  6. 스타상(*)의 효과는 다른 스타상(*)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. 이 경우 중첩된 스타상(*) 점수는 4배가 된다. (예제 4번 참고)
  7. 스타상(*)의 효과는 아차상(#)의 효과와 중첩될 수 있다. 이 경우 중첩된 아차상(#)의 점수는 -2배가 된다. (예제 5번 참고)
  8. Single(S), Double(D), Triple(T)은 점수마다 하나씩 존재한다.
  9. 스타상(*), 아차상(#)은 점수마다 둘 중 하나만 존재할 수 있으며, 존재하지 않을 수도 있다.

0~10의 정수와 문자 S, D, T, *, #로 구성된 문자열이 입력될 시 총점수를 반환하는 함수를 작성하라.

입력 형식

"점수|보너스|[옵션]"으로 이루어진 문자열 3세트.
예) 1S2D*3T

  • 점수는 0에서 10 사이의 정수이다.
  • 보너스는 S, D, T 중 하나이다.
  • 옵선은 *이나 # 중 하나이며, 없을 수도 있다.

출력 형식

3번의 기회에서 얻은 점수 합계에 해당하는 정수값을 출력한다.
예) 37

입출력 예제

예제 dartResult answer 설명
1 1S2D*3T 37 11 * 2 + 22 * 2 + 33
2 1D2S#10S 9 12 + 21 * (-1) + 101
3 1D2S0T 3 12 + 21 + 03
4 1S*2T*3S 23 11 * 2 * 2 + 23 * 2 + 31
5 1D#2S*3S 5 12 * (-1) * 2 + 21 * 2 + 31
6 1T2D3D# -4 13 + 22 + 32 * (-1)
7 1D2S3T* 59 12 + 21 * 2 + 33 * 2

풀이

난이도 하...라니....

문제자체는 어렵지 않지만 문자열을 분리하여 조건에 맞게 계산해야하는 부분이 어려웠다.

혼자 어떻게든 풀어보고 싶었으나 런타임에러로 실패

시간 낭비 고만하고 답 보자

코드

런타임에러 코드

func solution(_ dartResult:String) -> Int {
    let dartArr = dartResult.map{String($0)}
    var strOper = ""
    var idx = 0

    for i in 0 ..< dartArr.count {
        if dartArr[i].isNumber {
            strOper += "+\(dartArr[i])"
            idx = i + 2
        } else if dartArr[i] == "S" || dartArr[i] == "D" || dartArr[i] == "T" {
            strOper += bonus(num: dartArr[i-1], val: dartArr[i])
        } else if dartArr[i] == "*" {
            strOper.insert(contentsOf: "*2", at: strOper.index(strOper.startIndex, offsetBy: idx))
        } else if dartArr[i] == "#" {
            strOper += "*-1"
        }
     }

    strOper.removeFirst()
    let expn = NSExpression(format: strOper).expressionValue(with: nil, context: nil) as? Int
    return expn!
}

func bonus(num: String, val: String) -> String {
    if val == "S" {
        return "*1"
    } else if val == "D" {
        return "*\(num)*\(num)"
    } else {
        return "*\(num)*\(num)"
    }
}

extension String  {
    var isNumber: Bool {
        return !isEmpty && rangeOfCharacter(from: CharacterSet.decimalDigits.inverted) == nil
    }
}

다른 사람 답 :

func solution(_ dartResult:String) -> Int {
    let numbers = dartResult.split(whereSeparator: {$0.isLetter||$0=="*"||$0=="#"})
    let letters = dartResult.split(whereSeparator: {$0.isNumber})

    var result = numbers.map({Int($0)!})

    for (index, element) in letters.enumerated() {
        for c in String(element) {
            let i = Int(index)
            switch c {
            case "S":
                break
            case "D":
                result[i] *= result[i]
            case "T":
                result[i] *= result[i]*result[i]
            case "*":
                if i != 0 {
                    result[i-1] *= 2
                }
                result[i] *= 2
            case "#":
                result[i] *= -1
            default:
                print("error")
            }
        }
    }

    return result.reduce(0, +)
}

숫자와 문자를 분리하여

각 문자에 맞는 계산 조건을 적용해주고

각 계산 결과를 합해주면 끝.

whereSeparator 를 처음 보았다. string을 분리하는데 굉장히 편리하고 코드라인이 엄청나게 줄어든다.

https://developer.apple.com/documentation/swift/string/split(maxsplits:omittingemptysubsequences:whereseparator:)

728x90

댓글